김해 분청사기 1. 분청사기 개념과 특징 분청사기란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선생이 일본인이 부르던 의미 모호한 미시마(三島)라는 명칭에 반해 백토분장과 회청색의 특징을 근거로 분장회청사기로 명명한 데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분청사기는 대체로 고려왕조 14세기 중.. 도자기 이론 2019.09.15
도자기의 역사 도자기의 변천 과정 1. 토기→ 도기(陶器) →자기(磁器) 1) 토기 ․ 토기를 질로 만들어 불에 굽지 않고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그릇을 만들어 600℃ 정도의 낮은 화도에서 구워냈으며 가마도 없었다. 2) 도기 ․ 도기는 900∼1,000℃ 내외의 화도에서 산화번조(酸化燔造:가마에.. 도자기 이론 2019.09.15
가마 설치 시 고려할 접 1) 장소 . 지반이 견고하고 주변에 배수등이 잘된 장소 . 주위에 화재 위험이 없는 곳. . 공기등 환기를 원활이 시킬 수 있는 곳 . 가마 주위에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 . 가마는 항상 수평을 유지 2) 가마 설계기준 1. 가마내 온도차 분위기차를 최소화 2. 생산제품의 규격및 양에 따라 가마의 .. 도자기 이론 2016.09.30
[스크랩] 도자기 소지 백자토 백색도의 소지로서 내화도는 약1230-1280도 정도이며 입자가 곱고 건조 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우나 태토의 밝은 색 때문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쓰임새 : 화려한 채색이나 장식 등을 위해 깨끗한 작업 등 밝은 유약 작업. 산화. 환원. 온 도 1230-1270 1230-1270 태 토 밝은 미색/흰색 .. 도자기 이론 2016.01.14
분청사기 연구 머 릿 말 분청사기를 떠올릴 때 마다 느끼는 것은 어쩌면 이렇게 한국적인 맛을 듬뿍 가지고 있을까 하는 것과 지금 20세기에 생활용품으로 쓴다 하여도 손색이 없을만큼 현대적인 미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고려말에서 조선 시대까지 약 200여년간 우리 선조들의 옆에서 생활 자기로 .. 도자기 이론 2015.12.17
도자기 성형방법 ○ 도자기분야에 있어서 성형방법 ① 모델링(Modeling) ② 빚어만들기 핀칭(Pinching) 성형 ③ 코일링(Coiling) 성형 ④ 점토판 성형 ⑤ 석고틀(Slip Casting) 성형 ⑥ 물레(Jiggering) 성형 ⑦ 틀 성형 : 기계성형이라고도 부름 1. 모델링이란 예술적인 면이 많이 강조되는 성형기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테.. 도자기 이론 2015.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