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이론

[스크랩] 가마의 종류

푸른집이야기 2014. 7. 24. 15:37

도자 공예를 가리켜 흔히 <불의 예술>이라 한다.

가마는 열의 소비량을 줄이고 높은 열을 얻으려는 노력으로 만들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가마의 종류는 사용연료, 소성방법과 소성목적, 가마의 형태 등에 의하여 구분된다.

사용연료에 따라서 가스가마, 전기가마, 기름가마, 나무가마, 석탄가마, 톱밥가마 등으로 나뉘며 소성목적과 방법에 의한 구분으로는 식염유가마, 낙소가마, 노천소성가마, 흑도 가마, 러스터 가마, 초벌가마, 재벌가마, 전사지가마 등으로 불린다.

가마의 형태로는 각요, 환요, 윤요, 터널요, 병요, 등요, 등으로 나뉘고 가마의 구조에 따라  불연속가마, 반연속가마, 연속가마로 나뉜다.

불연속가마에는 불꽃이 옆으로 진행되는 횡염식과 불꽃이 위로 올라가는 승염식, 그리고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밑으로 떨어져서 밖으로 나가는 도염식이 있다.

불연속가마는 예열, 소성, 냉각의 과정을 매번 소성 시마다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의 손실이 크고 연료비가 많이 소비되어 실용적이지 않다. 

반연속가마로는 우리 나라 옹기가마 형식의 통가마(용가마, 또는 대포가마, 용기가마, 라고 칭함)와 통가마가 좀더 개량된 등요( 봉우리가마, 너구리가마, 노부리가마, 라고 칭함) 가 있다.

출처 : 담음 도예 공방
글쓴이 : 혜라니 원글보기
메모 :